독서리뷰2013. 3. 26. 10:50




우리 집은 내가 어릴 적부터 책이 많았다. 그중에는 다른 집에서도 심심찮게 찾아볼수 있던 위인전 시리즈가 있었음은 어쩌면 당연한 일이겠다. 스리랑카 산골짜기에서 역사에 획을 하나씩 그은 위인들의 이야기를 읽으면서 (아마 어머니가 의도한대로) 나도 어린 나이에 역사책에 이름을 남기겠다는 결심을 했다. 한번 사는 인생, 그래도 뭐라도 좀 하고 떠나야 되지 않겠는가? 지금은 물론 '나는 아인슈타인이 될꺼야!'라는 구호를 벽에 붙이고 살진 않지만, 남이 하지 못한 발견이나 발견을 통해서 흔적을 남기고 의미있는 삶을 살고싶다는 소원은 한결같다.


이번 책을 읽으면서 꼭 새로운 것을 찾아 문명의 진보에 한 목 하는 것만이 의미있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느꼈다. 새로운 발견이 하루가 무섭게 쏟아져나오는 21세기에서 그 발견들을 전문가들의 난해한 문체와 용어에서 걸러내 이해하기 쉽고 흥미로운 문체로 대중에게 전달하는 것도 충분히 의미있는 일이라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문명이 진보하면 뭐하는가? 대부분의 사람들의 머리는 똑같이 텅 비어 있는데.

따라서 전달력이 지식많큼이나 중요하다는 말이다. 과학자가 아니라 대학에서 물리와 영어를 전공한 '과학기자'인 저자는 그동안 진행됐던 DNA연구의 결과 그리고 미래를 전해주는데 마치 소설책을 읽는 것만 같다. Human Genome Project를 완성하기 위한 과학자들의 격렬한 경쟁, 침팬지와 인간의 DNA를 합치려고 했던 이바노프의 헛된 연구, 반도체 대신 DNA를 사용해서 컴퓨터 연산을 하는 연구 등의 이야기를 작가는 풍부한 표현력과 위트를 사용해 글을 써내려간다. 그리고 중요하진 않지만 멘델이 하루에 시가를 20개 폈다던가 다윈이심하게는 1분에 20번이나 토할 정도로 아펐다는 신기한 이야기를 읽는 것도 쏠쏠한 재미가 있다.

우리의 인생은 이론이 아니라 하나의 이야기이기 때문일까. 우리에게는 딱딱한 이론보다 스토리, 즉 이야기가 더 친근하고 흥미롭게 다가온다. 얼마 전에 읽었던 Loren Eiseley의 The Immense Journey와 같이 이야기가 얼마나 중요한지, 그리고 이야기꾼도 충분히 세상에 영향을 미치는 위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일깨워준 책이였다.


Posted by 이머츄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