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장 - Clues of God


하나님의 존재를 완벽하게 증명하는 증거는 없지만 존재할 확률이 매우 높다는 단서들을 우리는 찾아볼 수 있다. 첫째는 이 우주가 우연의 일치로 만들어졌다고 주장하기에는 이 우주의 물리학적 상수 (constants)들이 너무나 정교하게 조정됐다는 것이다. 이 상수 중 하나가 조금이라도 어긋나갔으면 우리가 알고 있는 이 우주는 존재하지 않았을 것이다. 따라서 이런 정교함 뒤에 창조자가 존재할것이라는 주장이다. 또 하나의 주장은 아름다움에 관련된 것인데 우리가 이유는 모르지만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것은 우리가 배고플 때 음식을 찾는 것과 비슷하다는 것이다. 배고픔이 음식의 부재를 의미한다면 아름다운 것을 볼 때 우리가 느끼는 감정은 아름다운 존재, 즉 하나님의 부재를 의미한다는 것이다. 음식이 존재하듯이 하나님도 존재한다.


우주가 정교하기 때문에 창조자가 있어야 한다는 주장은 받아들일 수 있지만 아름다움에 대한 주장은 잘 모르겠다. 이 세상에서 음식을 찾을 수 있듯이 아름다움도 찾을 수 있다.


어떤 진화론자들은 종교도 결국 진화론의 법칙을 따른다고 주장한다. 신에 대한 믿음을 비롯한 도덕, 사랑 같은 것이 생존에 도움이 됐기 때문에 존속했다는 것이다. 다만 생존에 도움이 됐다고 해서 진리는 아니다. 하지만 저자는 진화론자들이 이런 주장을 펼침으로서 자신들의 주장도 믿지 못하게 된다고 주장한다. 우리가 생각하는 이성도 진화론의 산물이라면 그 이성이 우리를 진리로 이끈다고 어떻게 주장할 수 있겠는가?


쉽게 단정지을 수 없는 문제인것 같다. 과연 이성이 무엇인지, 언제 발달됐는지, 그리고 진화론의 영향을 받는지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9장 - The knowledge of God


왜 인간은 도덕적 의무를 느낄까? 동물의 세계에서는 강자가 약자를 제압하는 것이 당연하게 여겨지지만 강한 인간이 약한 인간을 억압하는 모습을 볼 때 우리는 무언가 옳지 않다고 느낀다. 이런 연민의 감정을 진화론으로는 설명할 수 없다. 인간은 같은 민족이 아니더라도 같은 인간을 위해서 희생할 수 있다. 그들에게 살 "권리"가 있다고 느껴지기 때문이다. 이런 권리는 자연의 적자생존의 논리에서 나온것도 아니고 인간의 공리주의에서 나온 것도 아니다. 남은 선택은 하나, 하나님으로 부터 주어진 것이다.


일단 저자가 말하는 것처럼 인간이 이타적인 것 같지는 않다. 인간은 자신과 가까운 인간들, 즉 가족과 연인을 위해서 목숨을 던질 수 있지만 모르는 사람, 심지어 같은 국민이라고 해서 목숨을 흔히 던지지 않기 때문이다. 오히려 이 점은 도킨스의 이기적인 유전자의 논리를 지지한다. 또한, 인간에게 인권이 있어야 하는 이유도 하나님 없이 설명이 가능하다. 인권도 결국 이기적인 생각이라고 볼 수 있다. 인간은 미래에 대해 생각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자신이 약자가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열어둔다. 자신이 혹시라도 약자가 됐을때를 대비해 인권을 옹호하는 것이다. 



10장 - The problem of sin


보통 사람들이 생각하는 "죄"란 하나님의 뜻을 어기는 것이지만 실제 뜻은 하나님 외 다른 것을 신으로 삼는 것이다. 인간은 자신에 대한 가치를 느끼고 싶어하기 때문에 그 가치를 둔 것(자신, 연인, 특정 물건 등)을 신격화한다. 자신의 존재의 이유를 정당화하려는 것이다. 하지만 하나님 말고 다른 것을 사랑하는 것은 결국 사회가 분열됨을 야기한다. 만약 자신의 가치를 가족에 둔다면 다른 가족에 신경을 쓰지 않을 것이고 자신의 가치를 국가에 둔다면 다른 국가를 반대하게 된다는 말이다. 자신이 가치를 두는 것을 통해 우월감을 느끼려고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오직 하나님에 인생의 가치를 두어야만 우주의 모든 것을 사랑할 수 있다.


너무 부정적이다. 내가 내 가족을 사랑한다고 해서 다른 가족도 사랑하지 못할 이유는 없다. 물론 덜 사랑하겠지만 그것이 사회의 분열을 일으키진 않는다. 내가 사랑하는 그것이 영원하지는 않지만 그 유한한 사랑도 그 나름의 가치가 있다.



11장 - Religion and the gospel


선행을 통해 구원받을 수 있다는 생각은 두가지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자신의 의지로 선행을 하는 인간은 자신이 잘하고 있고 자신의 행동이 옳다는 자만스럽고 독선적인 생각을 버리지 못한다. 반면에 인간은 자신이 최대한 선행할 수 있는 만큼 않하고 있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언제나 불안감을 버리지 못한다. 이 모순은 인간이 자신이 죄인임을 인정하고 선행이 아니라 하나님의 은혜로 구원받았을때만 해결된다. 다만 하나님의 은혜를 받았다고 인정하면 자신의 인생을 하나님을 위해 살아야 한다. 이 희생은 강압적인 것이 아니라 사랑하는 연인들이 서로에게 귀속되듯이 인간도 하나님께 자발적으로 귀속되는 것이다.



12장 - The (true) story of the cross


예수님의 십자가 없는 기독교는 무용지물이나 다름없다. 십자가를 통해서 하나님이 정의의 하나님인 동시에 사랑의 하나님이라는 것을 증명했기 때문이다. 누가 내 집을 파괴하면 누군가 물어내야 되듯이 잘못을 저지르면 누군가 희생을 해야 되고, 용서를 한다는 것은 용서하는 사람이 희생을 하는 것을 뜻한다. 나의 어머니를 죽인 사람을 용서할 수는 있지만 복수하고 싶은 마음을 참는 것이 고통이고 희생이다. 이와 같이 예수님은 십자가에 못박힘으로 인해 희생하셨고 인간을 용서하셨다.


13장 - The reality of resurrection

예수님의 십자가만큼 중요한 것이 예수님의 부활이다. 예수님의 부활을 믿는 다는 것은 예수님이 말한 모든 것을 믿는 것, 그리고 예수님이 영생을 약속한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자세히 살펴보면 예수님이 부활하셨다는 것은 역사적으로 거의 확실하다. 부활이 처음으로 기록된 것은 바울 서신에 있는 것으로 예수님이 돌아가신지 불과 20년 안에 쓰여졌다. 5백병이나 되는 사람들이 예수님의 부활을 이에 대한 반론은 찾을 수 없으며 여자들이 예수님의 부활을 처음으로 목격했다는 기록은 당시 여자들의 낮은 사회적 지위를 감안했을 때 날조할 필요가 전혀 없었다. 또한 예수님의 부활 당시에 부활이라는 개념 자체가 찾아보기 힘든 시대였다. 이스라엘 혁명의 추종자들도 그들의 지도자가 죽었을 때 지도자가 부활했다는 어처구니 없는 주장은 하지 않았다. 이런 거대한 생각의 움직임은 오랜 시간에 걸쳐 일어나는데 이렇게 갑자기 일어났다는 사실은 실제로 예수님이 부활했다는 것을 시사한다.

위에 언급된 것과 같이 부활이란 개념은 생소한 것이었고 구약 성경에도 메시아가 부활한다는 말은 찾아볼 수 없다. Zealot 의 저자 Reza Aslan은 제자들이 이스라엘을 자유롭게 할 혁명가 메시아를 기대했고 예수님이 죽어버리자 메시아의 정의를 바꿔 예수님의 죽음에 의미를 부여한 것이라고 주장한다. 하지만 예수님의 저자들은 과연 순교하면서까지 자신들을 속이고 싶었을까?



Posted by 이머츄어